2022.02.17 - [정책 이야기/금융 세금] -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1: 양도소득세
2022.02.22 - [정책 이야기/금융 세금] -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2: 양도소득세
2022.02.24 - [정책 이야기/금융 세금] -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3: 양도소득세
위의 3개의 포스팅을 다 보시고 이 글을 보셔야 정확한 내용을 이해를 하실 수 있으니 꼭 위의 포스트들 확인 후 오시길 바랍니다.
이번 글이 양도소득세 관련 마지막 포스팅입니다.
바로 절세 방안입니다.
절세를 잘 이용하면 자신의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잘 이용을 해야 됩니다.
법의 테두리 안에서만 진행하면 되기 때문에 전혀 문제가 없으니 참고 바랍니다.
절세 방법 1: 손실 종목 매도 후 재매수
????
만약 앞의 포스트들을 안 보신 분들은 방법 제목만 보고 느낀 표현이 이럴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전 포스트 3건을 다 보신 분들은 이미 눈치챘을 겁니다.
네 맞습니다.
바로 연간 최종 수익 기준으로 양도소득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일부로 손실 종목을 매도하여 불어나 있는 양도소득세를 줄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Case: 양도소득세 과세표준 3000만 원 & 평가 손실 종목 2000만 원 보유 중
시나리오 1: 이대로 세금 신고 시
(3000-250) *0.22 = 605만 원
시나리오 2: 매도 후 재매수
(3000-2000)*0.22 = 220만 원
이 케이스들에서는 거래세 등은 빼고 단순하게 계산했습니다만, 보시다시피 세금이 확 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주의점: 매도 후 재매수 진행은 하루 간격 차이로 하는 것이 전산 오류 최소화 및 계산 시 날짜로 명확히 구분이 되기에 문제가 없습니다. 또한 Part3에서 언급했듯 결제일을 꼭 확인하셔야 됩니다.
절세 방법 2: 증여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이 아니지만, 가장 좋은 양도소득세 감면 방식은 증여입니다.
증여를 받는 사람의 평 군 주식의 단가는 양도 시점 전 후 2개월씩 총 4개월의 평균 가격입니다.
배우자에게 증여는 6억
직계 존비속간은 5000만 원 (성인 기준)
미성년자의 자녀는 2000만 원
기타 친족은 1천만 원
의 증여를 10년에 걸쳐 가능합니다.
10년이 지나는 시점에 리셋이 되는 구조입니다. 증여 관련 내용은 향후 별도로 이야기 다룰 예정입니다.
관련글: 2022.06.09 - [증여 이야기] - 증여세 Part 7-1: 증여세 - 증여재산공제 - 배우자, 직계존속 등 - 한도
이를 잘 이용한다면 다음과 같은 차익을 볼 수가 있습니다.
아래의 경우는 양도 시점 전 후의 종가 평균액으로 인하여 1.8억으로 증여가 진행되었다면
양도 차익의 경우 2천으로 계산이 됩니다.
만약 운이 좋아 종가 평균액이 2억으로 된다면,
양도 차익은 0으로 세금 자체가 없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에 추가로 증여재산공제 한도 내 또는 증여재산공제 후 1억 원까지는 10% 세율을 적용해서 양도소득세 22%보다 낮아 최대 배우자에게는 7억, 자녀에게는 (성인) 1.5억까지 증여를 통한 양도소득 절세가 가능합니다.
유의할 점:
다만 여기서도 정말 정말 중요한 것이 있는데 바로 양도소득이 100만원을 초과하면 연말정산의 인적공제에서 제외가 됩니다.
또한 증여 후 해당 돈을 다시 자신의 계좌로 돌려서 하는 경우 향후 세법상 (실질적 귀속) 문제 발생 소지가 큽니다. 즉 한번 증여한 돈은 다시는 절대로 자신의 계좌로 오게끔 하면 안됩니다.
마무리로, 꼭 잊지 말아야 하는 것을 이야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50만 원의 공제는 무조건 지켜야 합니다!
수익이 적어도 수익권이라면 매도 후 매수하더라도 무조건 챙겨야 합니다.
예를 들어 2021년에 250만 수익권이었고 매도 없이 2022년에 보니 500만 수익권 그리고 2023년에 750만의 수익권이라고 했을 때 2023년에 수익을 빼려 한다면 750-250 = 500만 원에 있어서의 세금을 내야 하나, 만약 매년 수익 공제를 챙겼다면 세금이 전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250만 원의 공제는 무조건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양도소득세 관련 내용 마지막이며, 다음은 다른 세금인 거래세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다음 글: 2022.03.03 - [정책 이야기/금융 세금] -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5: 거래세
'정책 이야기 > 금융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6: 배당소득세 (0) | 2022.03.08 |
---|---|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5: 거래세 (1) | 2022.03.03 |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3: 양도소득세 (0) | 2022.02.24 |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2: 양도소득세 (0) | 2022.02.22 |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1: 양도소득세 (0) | 2022.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