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책 이야기/연말정산3

연말정산 3편. 세액감면 & 세액공제 & 결정세엑 & 환급 & 납부 2024.02.14 - [정책 이야기/연말정산] - 연말정산 2편. 소득공제 2편까지의 여정의 끝은 산출세액 이었습니다. (기억이 안나신다면 이전 편의 마무리 단계만 보시면 됩니다) 즉 자신이 내야 하는 세금의 1차 금액이 나왔으며, 이제는 그 세금을 줄여서 진짜 내야되는 세금인 결정세액을 계산 하고 납부/환급 여부를 확인 하는 방법 까지 안내하겠습니다.. 이번 편이 마지막 편으로 이 여정의 시작은 산출세액부터 입니다. 세액 관련 내용은 총 2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세액감면 그리고 세액공제. 세액감면 세액의 일정부분의 납부의무를 감소해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부에서 정책으로 시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연말정산의 대표적인 세액감면은 중소기업 취업자에 대하여 소득세 90% 감면정책이 있습니다. 이에 있어서도.. 2024. 2. 17.
연말정산 2편. 근로소득공제 &기본공제 & 추가공제 & 소득공제 & 과세표준 & 산출새액 이전글: 2024.02.06 - [정책 이야기/연말정산] - 연말정산 1편. 연말정산이란? 이전글에서 봤다시피 마지막 부분은 총 급여액입니다. 자 이 총 금여액에서 산출세액 (내야 하는 세금) 까지 하나씩 짚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통상적인 의미로 연말정산에서의 소득공제는 납세자가 일정 기간 동안 지출한 비용을 연소득에서 차감하여, 최종적으로 납부해야 할 세금을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너무 어렵게 설명을 한 것 같아 소득공제를 쉽게 이야기 하면, 비용으로 쓴것들에 있어서 제외 시켜 줘서 순소득(?)을 계산 하여 이를 기반으로한 개인이 내야 할 세금을 산출 즉 계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라고 보면 될것 같습니다. 소비가 이뤄져야 사회가 돌아가기때문에 정부에서는 "그래 자네 돈이 사회에 도움이 되었네, 내.. 2024. 2. 14.
연말정산 1편. 연말정산 그리고 총급여 연말정산은 대한민국의 직장인이라면 매년 해야 하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여기에는 여러 항목이 포함되며, 이를 이해하고 적절히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말정산의 기본 연말정산은 본질적으로 직장인의 소득에서 세금을 정산하는 과정입니다. 소득에서 공제 항목을 뺀 후 남은 금액에 대해 세금을 계산합니다. 이 과정에서 여러 공제 항목들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즉, 연말정산은 한 해 동안의 소득과 지출을 종합하여 세금을 정확하게 계산하고 환급 또는 추가 납부를 하는 과정입니다. 연말정산을 통해 과세 소득과 실제 세액을 확인하여 자신의 재정 상태를 체크하고 환급을 받거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공제 항목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소득공제: 소득에서 빼주는 금액으로, 공제액이 클수록 과세 소득이 줄어.. 2024.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