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2.14 - [정책 이야기/연말정산] - 연말정산 2편. 소득공제
2편까지의 여정의 끝은 산출세액 이었습니다. (기억이 안나신다면 이전 편의 마무리 단계만 보시면 됩니다)
즉 자신이 내야 하는 세금의 1차 금액이 나왔으며, 이제는 그 세금을 줄여서 진짜 내야되는 세금인 결정세액을 계산 하고 납부/환급 여부를 확인 하는 방법 까지 안내하겠습니다..
이번 편이 마지막 편으로
이 여정의 시작은 산출세액부터 입니다.
세액 관련 내용은 총 2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세액감면 그리고 세액공제.
세액감면
세액의 일정부분의 납부의무를 감소해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부에서 정책으로 시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연말정산의 대표적인 세액감면은 중소기업 취업자에 대하여 소득세 90% 감면정책이 있습니다.
이에 있어서도 정말 많은 내용이 있습니다. 대상 여부에 있어서는 2011년 이전 취업자 부터 해서 장애인취업 일용근로자 감면적용 여부 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청년 나이요건 등 여러가지 아셔야 되는 것이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국세상담센터에서 확인 가능 합니다. https://call.nts.go.kr/call/qna/selectQnaInfo.do?mi=1318&ctgId=CTG11902
세액공제
세액공제는 산출 된 세금을 줄이는 실질적인 과정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감면 대상이 아니라면 바로 이 세액 공제를 보시면 되겠습니다.
여기에도 소득공제와 비슷하게 많은 항목들이 있습니다. 일부만 살펴 보면..
- 의료비 공제: 본인과 가족의 의료비 지출에 대한 공제가 가능하며, 일정 비율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특정 비율 이상분에 있어서 또 몇퍼센트만 적용이 가능한 공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본글이 써지는 시점인 2024년에는 총급여액의 3%를 초과한 금액에 있어서만 공제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면 총급여가 1천만이고, 의료비를 100만원을 썻다면.
100만 - (1000*3%) 가 공제 분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 교육비 공제: 자녀의 학비 등 교육 관련 비용에 대한 공제가 가능합니다.
자녀의 교육비 부분으로 대학원 등록금 학자금대출 상환, 직업능력 개발을 위한 시설 수업료로 한도 없이 무조건 비용의 15%를 공제 합니다
- 기부금 공제: 인정된 기부금에 대해 일정 비율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연애인들은 기부금을 많이 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통해서 이미지 재고도 되지만, 실질적으로 공제를 받는 것이 있어 어차피 세금 낼거 공제라도 받자 라는 경우가 많습니다. 천만원까지는 15%, 이후 초과분은 30%까지 가능 합니다. 저또한 매년 기부를 하고 있는데 이에 있어서도 좋게좋게 잘 쓰이기만 한다면 사회가 안전해 지고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
- 연금계좌세공제: 연금계좌에 있어 납입 한도 이내의 항목에 대해 일정 비율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내용은 제가 여러편으로 나눠서 설명했던 연금이야기 항목의 글을 보시면 매우 도움이 되실겁니다~!
추가로 https://10billionproject.tistory.com/99 참고 하시면 좋습니다.
결정세액
자 위에 언급한 세액감면과 세액공제을 이 글의 시작점이었던 산출세액에서 제외하면 나오는 것이 바로 결정세액입니다!
납부/환급
자 이렇게 나온 결정 세액을 이제 기 납부했던 즉 원천징수 했던 세금과 비교를 하게 됩니다. 그러면 나오는 금액이
1. +(플러스) --> 추가 세금 납부 필요
2. - (마이너스) --> 환급
마무리
여기까지 모든 연말정산 관련한 기초적인 내용을 서술 했습니다. 하나도 빠짐없이 언급을 하였지만, 시기가 변할 때 내용이 변화가 있을 텐데.. 앞으로는 그냥 해당 내용은 본글에 수정이 아닌 update 사항으로 별도로 빼놓을 예정입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최신 내용을 알고 싶다면, 뭐니뭐니 해도 가장 좋은 것은 국가 사이트에 개시 되어 있는 글입니다. 여기서 더 나아가면 국가에서 배포한 연말정산 책자가 있는데 해당 책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4년 2월 08일 기준) https://call.nts.go.kr/call/qna/ntnExcclcDownload.do
다음글은 제가 매년 연말정산 시 약 천만원 내외로 받고 있는 방법(?)을 올리겠습니다~!
'정책 이야기 > 연말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2편. 근로소득공제 &기본공제 & 추가공제 & 소득공제 & 과세표준 & 산출새액 (0) | 2024.02.14 |
---|---|
연말정산 1편. 연말정산 그리고 총급여 (0) | 2024.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