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책 이야기/금융 세금15 [팁] 양도소득세 이월과세 (필독) 2022년까지는 우선 소액주주들에게는 양도차익에 대한 과세가 없었으나, 2023년 부터는 국내의 경우 5천만원을 공제로 하여 새롭게 법을 신설 하였습니다. 작년에 정부가 극악적인 세법을 만들었고 국민들로 하여금 계산을 하기 힘들게 만들었습니다. (정부야... 손실도 보전도 안해주면서... 이건 좀 아니지 않나?... 손실은 너네 책임, 수익은 우리도 관여 했으니 돈 내놔 이런 심보....) https://10billionproject.tistory.com/48 이글에 링크 걸기 2022. 12. 27. [팁] 양도소득세 - 취득가액 이해 하기 2022.04.14 - [정책 이야기/금융 세금] -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Part1 단일증권사 2022.05.05 - [정책 이야기/금융 세금] - 양도소득세 신고하는법 Part1 (feat 홈텍스(국세청)) 여러편으로 나눠서 이야기했던 양도소득세 부분에 있어 한 가지 빼먹은 사실이 있어서 이렇게 추가로 작성합니다. 취득가액 증권사를 여러 곳이 있다 보니, 한 가지 눈에 띄는 사실이 있었습니다. 바로 양도소득세 계산 시 취득가액 산정 법이 증권사별로 다르다는 점입니다. 이 취득가에 있어서 계산 방법은 3가지 중 하나로 귀결이 됩니다. 1. 선입선출 2. 후입선출 3. 이동평균법 예를 하나씩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케이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동일종목 100달러 1주, 200달러 1주 보유 -> X.. 2022. 5. 12. 개인지방세 신고하는법 Part2 (feat 홈텍스, 위택스(국세청)) 2022.05.05 - [정책 이야기/금융 세금] - 양도소득세 신고하는 법 Part1 (feat 홈텍스(국세청)) 이전 글에서 양도소득세를 신고 하고 나며, 이제는 개인 지방세를 신고 해야 됩니다. 신고는 홈텍스를 통해서 시작을 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1. 홈텍스 로그인 https://www.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ui/pp/index.xml 위의 링크를 통해서 국세청-홈택스로 갑니다. 아래의 화면에서 로그인을 누르셔서 로그인 진행을 합니다. 금융인증서 등이 활용이 가능하니 참고하셔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2. 양도소득세 종합 안내 신고 납부 메뉴에서 양도 소득세로 갑니다 3. 양도소득세 화면 - 양도소득세 화면에서 신고 내역을 들어간 다.. 2022. 5. 10. 양도소득세 신고하는법 Part1 (feat 홈텍스(국세청)) 2022.04.28 - [미국 주식 공부/미국 주식 관련 팀 모음] -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Part2-4 준비물 마무리(1) 자 이제 이전 글들에서 준비를 했으니 이제 본격적인 신고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1. 국세청 홈페이지 접속 https://www.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ui/pp/index.xml 위의 링크를 통해서 국세청-홈택스로 갑니다. 아래의 화면에서 로그인을 누루셔서 로그인 진행을 합니다. 금융인증서 등이 활용이 가능하니 참고하셔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2. 양도소득세 종합 안내 로그인 이후에는 위의 상단 메뉴에서 조회/발급 - 양도소득세 종합안내로 갑니다. 3. 양도소득세 전자 신고 나오는 화면에서 편리한 전자 신고 아래의 .. 2022. 5. 5.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Part1 단일증권사 이전 글 2022.02.24 - [정책 이야기/금융 세금] -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3: 양도소득세에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아마 3월 초부터 해외 주식을 하시는 분들은 증권사로부터 메시지를 받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바로 4월에 접수를 받는 경우가 대다수인 양도소득세 무료 대행 서비스 입니다. 양도소득세 신고에 앞서 우선 자신에게 물어봐야 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가 해외 주식, ETF 등을 한 증권사에서만 진행했나? 아니면 여러 곳에서 했나?" 만약 하나의 증권사에서만 진행을 했다면, 아래 방법으로 진행하시고, 만약 여러 곳의 증권사를 통해서 해외 주식 거래를 했다면 Part2-Part5의 내용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제가 해외주식 거래를 하는 곳들인 유안타증권, k.. 2022. 4. 14.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10: 정리글-체크 리스트 해외 주식 및 ETF 관련한 세금에 대한 글을 총 9개로 나눠서 작성하였습니다. 아직 안 보신 분들은, 첫 글부터 시작해서 쭉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첫 글: 2022.02.17 - [정책 이야기/금융 세금] -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1: 양도소득세에서 언급하였듯, 세금은 거래세, 배당소득세, 양도소득세(지방소득세 포함) 이렇게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거래세는 거래시 알아서 빠져나가지만, 배당소득세와 양도소득세의 경우 일정 범위 이상이 된다면, 추가 자료를 만들어서 준비를 해야 됩니다. Part1~9까지 상세 이야기를 월별 체크 리스트로 만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월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1 - 연간 배당 관련 포트폴리오 수립 2 - - 3 증권사 대행 신청 요청 - .. 2022. 3. 29.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9: 배당소득세 이전 글: 2022.03.17 - [정책 이야기/금융 세금] -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8: 배당소득세에서 언급이 되었듯, 절세 방법 총 4가지 중 나머지 2가지를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절세 방법 3) 가족 증여 2022.03.01 - [정책 이야기/금융 세금] -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4: 양도소득세 증여는 많은 절세 방법 중에 하나로 통합니다. 이전 양도소득세에서도 이야기했던 방법을 그대로 쓰는 방법인데, 배당소득세 -> 금융소득 종합과세와 연관이 있기 때문에 증여를 통한 금융소득 종합과세를 피하는 방법도 하나의 절세 방법이 될 수가 있습니다. 금융권에서 받는 이자/배당 수익이 2,000만원이 넘지 않는다면 신경 쓸 필요가 없지만, 피부양자 .. 2022. 3. 24.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8: 배당소득세 2022.03.10 - [정책 이야기/금융 세금] -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7: 배당소득세 2022.03.15 - [정책 이야기/기타 세금 & 법령] - [팁] 건강보험 피부양자 인정 기준 (update: 2022/03) 위의 두가지를 읽지 않으셨다면 꼭 두가지 모두 숙지 하시길 바랍니다. 하기 내용을 이해 하는데 꼭 중요한 내용들 입니다. 제가 금융 관련해서 공부를 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 하는 부분은 바로 법 특히 세금과 관련된 내용들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부에서 시행하는 금융법등 그리고 해외의 금융법 (특히 미국)에 대해서는 중요 소식을 공부 하는 차원에서 그리고 제 와이프와 가족들에게 꼭 알아두어야 할 부분들을 정리 하였습니다. 자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서, 배당.. 2022. 3. 17.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7: 배당소득세 2022.03.08 - [정책 이야기/금융 세금] -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6: 배당소득세에 이어서 오늘은 알아둬야 하는 몇 가지 포인트 그리고 이후에는 절세에 대한 내용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1) 과세 기간: 연말정산도 그렇지만, 우리나라는 거의 대부분의 세금은 년을 기준으로 합니다. 그 말 즉슨 과세 기준은 (N-1)년도 1월 1일 부터 N 년도 12월 31일로 본다는 뜻입니다. 금융소득 종홥 과세와 관련된 내용으로, 과세를 할 때는 전년도 기간의 것을 기준으로 하게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수치는 바로 2,000만 원입니다. 금융권에서 받은 이자나 배당의 수익이 2,000만원 초과 시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가 되게 됩니다. 과세시의 방식은 종합과세라는 점에서 기본세율.. 2022. 3. 10.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6: 배당소득세 2022.02.17 - [정책 이야기/금융 세금] -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1: 양도소득세 2022.03.03 - [정책 이야기/금융 세금] - [팁] 해외주식 세금 (ETF 세금 포함) Part 5: 거래세 양도소득세부터 거래세까지 커버를 했으니 이제 남은 것은 바로 배당소득세입니다. 배당: 영어로 Dividend이라고 표현하며, 이전 ETF 관련 글에서 제가 자주 언급했던 부분입니다. 회사가 이윤의 일부를 주주에게 나눠주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대부분 사업에 있어 투자 이후 남은 이익 잉여금에 있어서 주주에게 나눠주는 것이 크며, 주가 부양에도 한몫을 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배당소득세: 배당을 받음으로써 생기는 개인의 이익에 있어서도 소득세를 가지게 되는 과세 제도.. 2022. 3. 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