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 공부/차원이 다른 연구 프로세스: 연구자를 위한 AI툴 활용법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8일차: 차원이 다른 연구 프로세스: 연구자를 위한 AI툴 활용법 강의 후기

by PMW 2025. 4. 8.
반응형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8일차 소감:

아이 데리고 몇일을 외부에서 돌아 다녀서 그런지 밤에 살짝 자야지 했다가, 잘못해서 오늘 챌린지를 못할 뻔 했다. ㅎ 

그래도 겨우 겨우 시간안에 완성을 하고, 이렇게 후기를 작성하게 되었다. 

 

금일 강의는 아쉽게도 현재까지도 유료버전의 claude 사용자를 대상으로만 서비스를 진행 중인 proejct라는 것에 대한 설명들이었다. 관련 노트는 아래 내용에 작성하였으니 소감에는 작성하지 않을 예정이다.

 

유료로 서비스가 되는 부분이라서 그런지, 실습은 하지 못하고 그냥 내용 확인을 통해서 어떤식으로 사용 할 수 있는지를 볼 수 있는 거였는데.. 그나마 내용이 막 어려운 부분이 아니고, 기존에 내가 유료로 쓰고 있는 Open AI의 GPT 서비스 중에 하나인 GPTs build와 내용이 매우 유사함을 확인 하였다. 

 

보니까 RAG라는 용어를 안쓰기 위해 사전 지식을 넣는 다는 의미로 이야기를 해주는 것도 그렇고, 전체적의 컨셉 등은 GPTs와 같음을 확인 하였다.

 

여기에 추가적인 확인을 해보니, 현재는 project라는 부분에 있어서 모니터링이 가능하게끔 되어 실제 팀 단위로 쓰는 부분에 있어서 효율성을 판단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사내용 생성형 ai 를 배포하고 관리 할 수 있는 형태로 거듭 낫다고 해야 될까? 무튼 관리 툴로써도 괜찮은 형태라고 보나 실제 대형 기업에서 쓰기엔 뭔가 아쉬운 점이 있어 보이긴 한다. 

 

무튼 금번 강의는 뭔가 다른 서비스 플랫폼과 유사해서 그런지 나름 들을만 했다? 수준의 내용이었던 것 같다. 


 

ch01-10. Claude Artifacts 기능 및 활용 사례 소개

 

프로젝트 생성 및 사전 설정 가이드
- 미리 업로드된 파일을 기반으로 코드 생성 가능하지만, 추가 기능은 제외.
- 프로젝트 생성 방법 안내:  프로젝트 클릭 하기 (유료 버전에서만 가능함)
- 사전 설정 값 시스템 프롬프트 입력 그리고 PDF 또는 워드 파일과 같은 RAG에 쓰듯이 파일들 업로드를 통해 내용 기반 답변 생성 가능.

(궁금한 부분은 이 파일들은 과연 학습이 될지가 궁금 하긴 하다.. GPT 에서는 team 버전은 안된다고 하는데.. claude는?)

활용 예시) 다국어 번역 프로젝트 구현
- 한국어 입력 시 영어, 일본어, 중국어, 스페인어로 번역하는 프로젝트.
- 4개의 액티비티를 이용하여 각 언어 번역 결과를 코드 블록에 출력. ( 코딩창 처럼 만들어서 출력 하게끔 하는 부분이 하나의 인사이트 랄까? 꽤나 괜찮은 부분인것 같다)

- 프로젝트는 사전 설정된 형식과 최적화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작동.

 

금번 강의는 매우 짧아서인지 쓸 내용이 많이 없는 편임

 

① 오늘자 날짜, 공부 시작 시각 포함 사진 1장


② 오늘자 날짜, 공부 종료 시각 포함 사진 1장



③ 1개 클립 수강 인증 사진 (강의장 목록 캡쳐, 강의 내용이 담긴 수강화면이 보이지 않도록) 1장


④ 학습 인증샷 1장 이상 (ex. 필기 촬영, 작업물, 등)

 

필수 URL: https://abit.ly/lisbva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패스트캠퍼스후기 #습관형성 #직장인자기계발 #오공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