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6일차 소감:
클로드는 솔직하게 말해서 초기에 쓰다가, UI가 맞질 않아서 안쓰게 되었다. 솔직히 작문을 잘한다고 해서 블로그 등 쓸 때 쓰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손이 많이 안가는 녀석이었다. 유료를 구매해서 쓰는 사람들은 꽤 좋다고 칭찬을 하고, 여러 미디아를 통해서 보았을 때도 gpt 보다도 더 많이 쓰는 경우들이 꽤 있는것 같은데.. 나는 범용성 좋은 gpt가 손이 더 가는 것은 사실이다.
무튼. 금번 강의를 통해 이전에는 gemini에 있어서 새로운 시각을 가지게 되었는데, Claude 도 마찬가지로 그런것 같다. 처음 보는 기능이 있었고, Claude 만의 기능이라는 점에서 꽤나 괜찮다는 느낌이 있었다.
이제 인트로들은 끝나고 다음부터는 prompt 관련되서 쓴다니 기대 기대 된다~
ch01-08. Claude, Anthropic Console 활용법 알아보기
버전 차이
- Opus는 GPT 최신 모델과 유사
- Sonnet은 무료 버전 (현재는 참고로 3이 아니라.. 3.7이라는 점에서 상당한 업데이트가 있었다고 봐도 무방 할듯 하다.)
이미지 및 텍스트 분석 시스템
- 이미지와 텍스트를 분석하여 보고서 내용, 언어, 색깔, 모양 등을 인식하고 분석.
- 인지 정보 분석 기능과 이미지 분석 기능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가짐.
(특히 테이블 등 잘 안내 해주는게 좋은듯)
Console
- GPT에 Playground가 있다면, Gemini에는 AI Studio가 그리고 Cluade에는 Console이 있다
- 언어 모델 서비스는 다 거기서 거기인지 System Promopt 등 넣는 기능은 다 비슷 비슷 하다
- 과금 체계도 비슷하다.
반복 프롬프트 자동화 방법 (Cluade의 장점?)
- 중과로 버튼을 이용한 반복 프로젝트 테스트 자동화 기능 설명.
- 예시로 지역, 언어, 분량 등의 변수를 설정하여 테스트 케이스 생성 및 결과 확인.
- 동일한 형식의 질문에 변수 값만 변경하여 효율적인 테스트 수행 가능.
(이 기능은 나름 쌈박 한거 같다. 어떻게 보면 Gemini의 few shot 기능에서 더 나아간 모습이랄까?, 역시 기술은 다 발전 하는 양상이 비슷하면서도 다른듯한 느낌이다.)
① 오늘자 날짜, 공부 시작 시각 포함 사진 1장
② 오늘자 날짜, 공부 종료 시각 포함 사진 1장
③ 1개 클립 수강 인증 사진 (강의장 목록 캡쳐, 강의 내용이 담긴 수강화면이 보이지 않도록) 1장
④ 학습 인증샷 1장 이상 (ex. 필기 촬영, 작업물, 등)
필수 URL: https://abit.ly/lisbva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패스트캠퍼스후기 #습관형성 #직장인자기계발 #오공완
'개인 공부 > 차원이 다른 연구 프로세스: 연구자를 위한 AI툴 활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8일차: 차원이 다른 연구 프로세스: 연구자를 위한 AI툴 활용법 강의 후기 (0) | 2025.04.08 |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7일차: 차원이 다른 연구 프로세스: 연구자를 위한 AI툴 활용법 강의 후기 (1) | 2025.04.07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5일차: 차원이 다른 연구 프로세스: 연구자를 위한 AI툴 활용법 강의 후기 (0) | 2025.04.05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4일차: 차원이 다른 연구 프로세스: 연구자를 위한 AI툴 활용법 강의 후기 (0) | 2025.04.04 |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3일차: 차원이 다른 연구 프로세스: 연구자를 위한 AI툴 활용법 강의 후기 (1) | 2025.04.03 |
댓글